2025년 새해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노동자의 최저 생계비를 보장하는 최저임금이 1만 원을 초과할 전망이며, 기준 중위소득 또한 맞춤형 급여체계로 전환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오늘은 2025년의 최저임금과 기준 중위소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
2025년 최저임금은 10,03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 최저임금 관련 정보
- 적용 범위: 최저임금은 1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
- 정규직, 비정규직,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청소년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모두에게 해당
구분 | 2024년 | 2025년 |
시간당 최저임금 | 9,860원 | 10,030원 |
월급 환산 시 | 2,060,740원 | 2,096,270원 |
2025년 최저임금 상승으로 시급은 170원 인상되었고, 월급은 35,53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를 기준으로 6.42% 인상되어, 609만 7,773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맞춤형 급여체계가 도입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인상률입니다.
가구원 수 | 2024년 기준 중위소득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
1인 가구 | 222만 8,445원 | 239만 2,013원 |
2인 가구 | 368만 2,609원 | 393만 2,658원 |
3인 가구 | 471만 4,657원 | 502만 5,353원 |
4인 가구 | 572만 9,913원 | 609만 7,773원 |
5인 가구 | 669만 5,735원 | 710만 8,192원 |
6인 가구 | 761만 8,369원 | 806만 4,805원 |
이번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빈곤층의 생활 수준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5 사회보장 급여 기준 인상
기준 중위소득의 인상으로 사회보장급여 기준도 함께 조정되었습니다.
각 급여의 수급 기준과 변화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생계급여
✅ 선정 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 가구
✅ 부양의무자 소득 기준 완화
연 소득 1억 원 또는 일반 재산 9억 원 초과 시 수급 탈락 → 연 소득 1.3억 원 또는 일반 재산 12억 원 초과 시 수급 탈락
의료급여
✅ 선정 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가구
✅ 건강생활 유지비 인상: 월 6,000원에서 월 12,000원으로 인상
주거급여
✅ 선정 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가구
✅ 기준 임대료: 1.1만 원에서 2.4만 원으로(3.2%~7.8% 인상)
✅ 주택 수선 비용: 133만 원에서 360만 원으로(29% 인상)
교육급여
✅ 선정 기준: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 가구
✅ 교육 활동 지원비: 약 5% 인상
✅ 초등학교: 487,000원
✅ 중학교: 679,000원
✅ 고등학교: 768,000원
이러한 기준 중위소득 인상과 제도 개선으로 약 7만 1,000명이 새롭게 생계급여를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에는 최저임금이 처음으로 1만 원을 넘어서고,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로 인상되는 해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제도의 개선이 저소득층 국민들의 생활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시 민생회복 생활 안정 지원금 | 1인당 10만 원씩 (0) | 2025.01.03 |
---|---|
2025 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과 혜택 완벽 정리 (0) | 2025.01.02 |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소유권 연장하기: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어요! (0) | 2025.01.02 |
도시가스 캐시백 프로그램으로 가스비 절약하기 (0) | 2024.12.21 |
자동차세 납부 | 12월, 2기분 자동차세 납부 기간 · 납부 대상 (0) | 2024.12.16 |